👧 청약통장 인정금액이 올라서 고민이에요.
2024년 9월부터 청약통장 납입 인정금액이 25만원 오른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저희는 3 인 가족이라 1인당 10만 원씩 총 30만원을 내고 있는데요. 앞으로 25만원씩 내려고 하니 매달 75만원이나 내야 하더라고요. 매달 이렇게 내장이 너무 부담되고 계속 10만원씩 내면 청약할 때 불리해질까봐 걱정되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 "굳이 무리하지 마세요"
📌 국민/ 공공주택 청약이 아니라면 괜찮아요
📌 주택 유형별 기준을 확인하고
📌 필요한 금액만큼만 내세요
유리한 유형이 따로 있어요.
청약통장 나비백이 많다고 해서 무조건 유리한건 아니에요. 국민/공공주택 일반 공급과 노부모 부양 특별 공급에 도전할 때만 도움이 되죠.
그러니 이 두 가지 유형의 청약을 하는게 아니라면 무리에서 매달 25만원씩 납입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당첨될 확률도 낮아요.
또 한가지 고려해야 할 점이 있는데요.
국민/ 공공주택 일반 공급으로 당첨되긴 어렵다는 사실이에요.
국민/ 공공주택을 쓸 수 있는 청약저축을 보유한 사람만 약 34만 명인데요. 이 사람들이 계속 10만원씩 납입해 왔다면 사연자님이 지금부터 매달 25만원씩 납입한다 해도 앞지르기가 쉽지 않죠.
(2024년 6월 청약홈 기준)
즉 여러 상황과 조건을 따져봤을 때 매달 25만원씩 내는 게 부담스러워 내는 상황에서 무리해서 내야 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에요.
나에게 맞는 전략을 세우세요.
청약의 유형은 다양해요. 따라서 나에게 맞는 유형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전략을 세워야 하죠. 전략과 나의 상황에 맞는 납입액을 정해야 하고요. 만약 민영주택 일반 공급을 준비한다면 지역별 예치금 기준만큼만 납입하세요.
이 밖에 특별 공급을 준비한다면 해당하는 유형의 최소 기준으로 잠깐만 납입하면 충분해요.
. 위 콘텐츠는 행복자산관리 연구소 의 내용을 참고하여 만들어졌습니다.
